왜 협궤철도를 만들었을까 섹션 레일로이어지는행복+ > 등록일 2010-04-01 작성자 홍보실 (admin) 왜 협궤철도를 만들었을까? 행복+ 4월호 발간 협궤철도 하면 대개는 옛날의 수여선과 수인선철도를 생각하게 된다. 우선 협궤철도의 구분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철도의 표준궤간(1,435㎜ : 4ft8.5inch : 4尺8寸)은 미국의 클락코던의 .. 철도이야기 2010.04.02
[칼럼]국민 생각하며 대화 나서라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7-11-19 작성자 홍보실 (admin) [칼럼]국민 생각하며 대화 나서라 기자의 눈 - 박희윤 기자(서울경제 사회부) 대선이다, 파업이다, 국가 전체가 어수선하기만 하다. 너도나도 자신의 이해와 목적을 관철시키는 데만 골몰하고 있다. 먹고 살기 바쁜 국민들에게 짜증만 더욱 가중.. 철도이야기 2010.04.02
[기고]철도노조 불법파업 안된다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7-11-19 작성자 홍보실 (admin) [기고]철도노조 불법파업 안된다 특별기고-정예성 (우송대 철도경영학부 교수) 철도노조가 오는 16일부터 파업을 하기로 결의하였다. 이번 파업에 대한 찬반투표에서 절반가량(53%)만이 파업에 찬성했다는 것은, 반대로 노조원의 절반 정도가 파.. 철도이야기 2010.04.02
[특별기고] KTX는 커뮤니케이션이다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8-04-12 작성자 홍보실 (admin) [특별기고] KTX는 커뮤니케이션이다 김현주 광운대사회과학대학장/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고속철도 개통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4년이 흘렀다.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교수직 외에 학회와 세미나, 특강이 종종 있어서 지방갈 때 나는 KTX를 자주 이.. 철도이야기 2010.04.02
세계의 철도가 탄생하기까지 도전과 좌절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8-09-16 작성자 홍보실 (admin) 철도가 탄생하기까지 도전과 좌절 그리고 희망의 역사 16세기 영국의 탄광들은 석탄을 갱에서 가까운 강이나 수로까지 운반하기 위해 목재 레일을 깔았다. 탄광에 고인 물을 퍼내는 펌프를 개량하는 과정에서 철도의 또 다른 상징인 증기기관도 .. 철도이야기 2010.04.02
철도의 아버지 조지 스티븐슨과 세계 최초 철도의 탄생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8-09-16 작성자 홍보실 (admin) 철도의 아버지 조지 스티븐슨과 세계 최초 철도의 탄생 1804년, 트레비딕이 원시적 증기기관차를 만들어 화차를 끄는 데 성공하긴 했지만 실용화와는 거리가 멀었다. 철도가 실용적인 교통수단으로 등장하는 데 결정적 공헌을 한 인물은 조지 스.. 철도이야기 2010.04.02
리버풀&맨체스터 철도와 레인힐 기관차 경주대회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8-09-16 작성자 홍보실 (admin) 리버풀&맨체스터 철도와 레인힐 기관차 경주대회 1825년 개통된 스톡톤&달링톤 철도는 영국뿐만 아니라 프랑스, 독일, 미국 등 외국의 엔지니어와 공직자들에게도 벤치마킹 대상이 되었다. 말이 아닌, 증기엔진으로 움직이는 공공철도는 말로 표.. 철도이야기 2010.04.02
영국을 달군 철도 광풍 그리고 독일 통일의 파트너 철도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8-09-16 작성자 홍보실 (admin) 영국을 달군 철도 광풍 그리고 독일 통일의 파트너 철도 1830년 개통된 리버풀&맨체스터 철도는 단순히 새로 선보인 교통수단만은 아니었다. 영국은 물론, 바다 건너 미국과 유럽이 ‘당대의 첨단 기술’ 철도의 출현에 열광했다. 철도 광풍으로.. 철도이야기 2010.04.02
신세계를 연 철도 그리고 철도 차량의 발전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8-09-16 작성자 홍보실 (admin) 신세계를 연 철도 그리고 철도 차량의 발전 미국 철도는 산업화 과정에서 교통 수요 증가에 따라 도시들을 이어주는 교통 시스템으로서 발전한 것이 아니라, 철도의 발전으로 인해 그때까지도 사람이 살지 않았던 황무지가 비로소 개척되었다는.. 철도이야기 2010.04.02
철도가 바꾼 세상 새로운 시간과 공간들 섹션 오피니언 > 등록일 2008-09-16 작성자 홍보실 (admin) 철도가 바꾼 세상 새로운 시간과 공간들 철도가 도입되기 전 사람들은 지역에 따라 고유한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런던의 시간은 브리지워터보다 14분이 빨랐다. 하지만 철도는 운영 특성상 정밀한 시간 규칙을 요구했고, 출발과 도.. 철도이야기 201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