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 : ㎞) |
|
구 분 |
구 간 |
거 리 |
복 선 |
전철화 |
궤 간 |
비 고 |
시베리아 횡단철도 (TSR) |
블라디보스톡~하바로브스크~치타~울란우데~ 이르크츠크~옴스크~노보시비르스크~ 예카데린브르크~모스크바 |
9,880 |
9,880 |
9,880 |
러시아 광궤 (1,520㎜) |
운임체계: MTT |
중국 횡단철도 (TCR) |
연운항~정주~란조우~우르므치~*아라산쿠(중)~ *드루즈바(카)~*프레스고노르코프카(카)~ *자우랄리에역(러)에서 TSR과 연결 |
8,613 |
7,127 |
5,001 |
중국 표준궤 (1,435㎜) 카자흐 광궤 (1,520㎜) |
운임체계: ETT |
만주 횡단철도 (TMR) |
도문~*만주리(중)~*자바이칼스크(러) (러)에서 TSR과 연결 |
7,721 |
7,367 |
6,067 |
중국 표준궤 (1,435㎜) |
|
몽고 횡단철도 (TMGR) |
중국 천진~베이징~*에렌호트(중)-*자민우드(몽)- 울란바토루~*수흐바토르(몽)-*나우스키(러)~ 울란우데역(러)에서 TSR과 연결 |
7,753 |
6,296 |
5,777 |
몽골 광궤 (1,520㎜) |
몽고 전구간 단선철도 |
궤간 극복방법 |
환 적
| 화물을 상ㆍ하차하여 옮겨 싣는 방법 |
대차교환
| 차체를 올려서 차축만 교환(시간당 3~4량 처리) |
가변대차
| 대차바퀴간 거리가 궤간에 맞춰 자동조정 * 스페인 탈고회사가 1968년에 제작 - 프랑스/스페인, 폴란드/리투아니아간 | | * 표식 : 국경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