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철도 일반현황 |
1. 철도조직 |
- 철도성(相 김용삼) 산하 4개 철도국(평양ㆍ개천ㆍ함흥ㆍ청진)총괄아래 20여개의 철도분국에서 관리운영
|
2. 노선현황 |
- 총연장 5,224km로 17개 주요간선 등 100여개 노선으로 구성 (남한 영업거리 3,380.3km, 궤도연장 7,529km)
- 궤간은 표준궤(1,435mm) 87%, 협궤(762mm) 10%, 광궤(1,524mm)ㆍ혼합궤 3% (남한 표준궤)
- 국경철도는 중국과 3개노선(신의주~단동, 만포~집안, 남양~도문), 러시아와 1개 노선(두만강~하산) 연결
|
3. 수송체계 |
- 철도의 수송 분담율이 매우 높은 주철종도형(主鐵從道形)
- 여객수송 62%, 화물수송 90% 분담(남한 8%, 11%)
- H자형 간선망과 전지역을 순환하는 철도망 형성
- 동서 해안선, 중ㆍ러 연결망 및 동서ㆍ남북 노선이 구축되어 있으며 단거리 노선이 많음(50%가 30Km이하)
- 전철화율은 80%로 높으나(남한 39.6%) 복선화율은 3%로 낮음(남한 38.1%)
- 시설노후화, 선형불량으로 평균속도가 20~60km/h로 낮음 (남한 60~100km/h)
- 평부선(평양~개성 187Km) 구간만 100Km/h 운행 가능
- 침목은 대부분 심하게 부식, 터널 및 교량은「붕괴위험」수준
- 기관차는 1960년대산으로 50%이상이 고장상태이며, 속도계ㆍ무선통신 장비가 전무함, 통신은 70년대 구소련ㆍ중국 등에서 생산된 제품, 신호체계도 반자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