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나 기가 막힌 사실
▲ 금수산 기념궁전 외경
북한의 금수산 의사당은 김일성 사망후
그 시신을 안치한 금수산기념궁전
즉 '김일성 시신궁전'으로 바뀌었다.
김일성이 미라의 모습으로 누워있는 곳이다.
3백만명이 굶어죽던 대아사 기간인 95년에 착공했고
의사당을 시신궁전으로 재건축하는데
무려 8억9천만 달러가 들어갔다.
당시의 국제가격으로 치면 강냉이 6백만 톤으로
2천3백만 인민이 3년간 굶주림을 면할 수 있는 건축비다.
북한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 (www.uriminzokkiri.com)는
최근 화첩“수령영생위업 실현을 위하여”를
소개하면서, 김일성 시신궁전 내부를 소개했다.
화첩은 금수산기념궁전 건설과 영생탑 건설,
주체연호 및 태양절 제정, 회고록(계승본)발행,
혁명사적지 및 전적지들을 새롭게 발굴하고
꾸릴 데 대한 김정일의 활동을
100여장의 사진과 함께 소개했다.
화첩 첫 부분에 소개된 금수산기념궁전은
대성구역 미암동 1973년 3월에
금수산 의사당으로 착공되어
1977년 4월 김일성 탄생 65돌에 준공된 주석궁이다.
▲ 95년 김정일이 호위사령관 이을설(좌)에게
'금수산기념궁전' 건설을 지시하고 있다.
▲ '금수산기념궁전' 건물 모형을 보며 설명하는 김정일
▲ 김정일이 기념궁전 벽에 부착할 대리석
견본을 직접 고르고 있다.
김일성은 스스로 죽고나면
대성산 혁명열사능에 묻히기를 원했다.
그러나 김정일은 수령의 후계자로서
김일성을 영원한 주석으로 모시기 위해
김일성의 유언을 거부하고
금수산의사당 전체를 시신궁전으로 만들었다.
94년 김정일은 김일성의 시신 영구보존과 관련,
궁전으로 만드는 지시를 내렸다.
1995년 6월12일 당중앙위, 당중앙군사위,
국방위원회, 중앙인민위원회, 정무원
공동 명의의 결정에 따라
금수산의사당(주석궁)을
금수산 기념궁전으로 바꾸었다.
총부지 면적은 350만㎡,
지상 건축면적은 3만 4910㎡에 달하며,
광장 앞마당 넓이는
한번에 20만 명이 운집할 수 있는 10만㎡로,
김일성 광장의 두 배에 달한다.
화강석 70만개를
20여 가지 모양의 규격으로 다듬어 깔았다.
주석궁은 처음 유럽식 궁전을 모방한
5층짜리 복합 석조건물 이었으나,
시신궁전으로 되면서 중앙홀에
대형 김일성 초상화와 김일성 입상을 세웠고,
궁전 앞 광장은 김일성 김정일의 생일을 상징해
너비 415(4월15일 김일성 생일) 미터,
길이 216(2월 16일 김정일 생일)미터로 되어있다.
▲ 기념궁전 건설에 동원된 건설 장비와 군인들.
광장 건설에는 공병국 1여단
(김일성, 김정일 별장 건설전문)이 투입됐다.
별장건설 전문 부대이므로 중장비들이 동원된다.
이 부대는 다른 건설 부대와 달리 배급 상태가 좋다.
▲ 기념궁전 내에 있는 탈의실. 반드시
양복 또는 한복으로 정장해야 한다.
참배객들은
김일성 시신(미라)이 있는 방에 들어갈 때
외투를 벗어 탈의실에 맡긴다.
남자는 양복, 여자는 한복 차림만 허용되며
점퍼나 작업복을 입은 사람은 입장할 수 없다.
이를 모르는 지방 사람들이 평양까지 갔다가
시신이 있는 곳까지 들어가지 못하고 내려온 경우도 많다.
▲ 완성된 금수산 기념궁전(97년)
▲ '금수산 기념궁전'을 연결하는 외부 복도
▲ 야외복도에서 궁전 본관으로 통하는 수평 에스컬레이터
▲ 시신 보관실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1996년 주민들의 관람을 위해
건물 바깥쪽에 긴 복도를 만들고,
1998년에는 100여 정보에 달하는 수목원을 조성했다.
지하 200미터의 평양 지하철과 이어졌으며,
주변에만도 30여개의 감시 검문초소가 있어
일반인의 접근이 통제되고 있다.
김일성 시신 보관의 위생과 편의를 위해
궁전 내부에 수억 달러를 들여 자동 공기청정기,
자동 신발털이 기계와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했다.
모든 방과 홀은 화강석과 대리석을 다듬어 건설했다.
금수산 기념궁전은 '어버이 수령'에 대한
지극한 효성과 충성의 극치이자,
수백만 명의 목숨을 빼앗으며 건설되었다.
이것이 김정일 수령독재의 본 모습이다.
▲ 궁전 왼편 외부 복도(위). 궁전 정문에 건설된 돌문(가운데).
궁전 주변을 둘러싼 화강석 울타리
▲ 완성된 궁전 주석단을 돌아보는 김정일. 주석단
전체가 대리석으로 장식되어 있다.
▲궁전 중심홀에 비치된 김일성 립상(입상). 홀 입구에서
60m로 대리석 기둥이 세워져 있다.
▲ 김일성 시신에 참배! 하기 위해 줄은 선 해외동포들
죽은 김일성시신은 저렇게 초 호화궁전에 모시고
아래 북한주민들의 실상은 너무 비참해서 , , ,
'김정일의 인민 대학살 현장이네요'
서울시청앞 '북한인권사진전시회'
▲ '북한인권사진전시회' 개막식
12월 8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되는
북한인권국제대회 개막 행사인
‘북한인권사진전시회’가
4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자유북한방송 김성민 대표,
납북자 가족협의회 최우영 대표 등
북한인권관련 단체 대표들과
자유주의연대 신지호 대표,
성신여대 정외과 김영호 교수 등
국제회의 집행위원회 인사들이 다수 참여했다.
이번 북한 인권 국제대회 공동 대회장을 맡은
유세희 바른사회 시민회의 공동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북한인권의 참혹한 실상을
고발하는 것이 행사의 의의'라며,
'최근 국제사회는 물론 남한에서도
북한 인권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는데 비해
우리 정부만 북한 정권을 자극하지 않아야 한다'며
소극적으로 대처한다'며 정부의 태도를 비판했다.
특히 북한이 배급제 재개, 선군강화 등
체제 강화에 나서고 세계 NGO의
북한내 활동을 금지한 조치는
“북한 정부 스스로
인권개선 의지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전세계 절규'한나라당 김문수 의원은
여론을 통한 압박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사진으로 보는 생명의'북한인권 사진전시회는
인간과 동포에 대한 사랑의 전시회,
생명의 전시회'라며 “인권법보다 중요한 것은
생생한 북한의 현실” 이라고 말했다.
김의원은 '이 사진전시회는 예술이 아니라
생명이고 죽음이며
간절한 절규”라고 강조했다.
미국 디펜스 포럼 수잔 솔티 회장은
남신우 북한자유연합 부대표가 대신 읽은 편지를 통해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연합군은 독일인에게 나치의 유태인 학살을
잊지 않도록 수용소를 공개했다”며
“김정일 대학살 전시회를 통해
북한의 학살현장을
바로 알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북한인권 사진 전시회는
공개처형, 정치범 수용소 등
10개의 주제를 선정, 12월 11일까지
서울광장에서 진행된다.
정재성 기자 '북한의 현실'
▲ 영양실조의 어린아이들
▲ 두만강을 건너다 죽은 탈북자의
주검이 강물에 떠내려 가고 있다.
일어는 "꽃제비"
▲ 기아에 허덕거리고 있는 북한 아이들과 주민들
▲ 심각한 영양실조로 누워있는 북한아이들
▲ 중국 산간지역에서 움막을 짓고 숨어
살고 있는 탈북 모자
▲ 국제인권운동가들이 중국의 강제송환을
반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 탈북어린이 장한길군이 중국 은신처에서
아버지를 살려달라고 김정일에게 쓴 편지
▲ 너무나 대조적이다